맨위로가기

창녕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 성씨는 고려 시대 호장중윤 성인보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 성여완은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시중을 지냈고, 그의 아들 성석린은 영의정에 올랐다. 성석용의 증손자 성삼문은 사육신 중 한 명이며, 성봉조는 정희왕후의 동생과 결혼하여 우의정을 지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36명, 상신 5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을 배출했다. 창녕 성씨는 성공필과 성한필을 파조로 하여 분파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성현, 성희안 등이 있다. 또한,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녕 성씨 - 성혜림
    성혜림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배우로 활동하다 김정일과의 관계를 통해 북한 사회에서 주목받았으며, 김정남을 낳았으나 김일성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 창녕 성씨 - 성완종
    성완종은 경남기업 회장과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이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기소되어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 중 자살했고, 사망 후 공개된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창녕 성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창녕 성씨
한자昌寧 成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남도 창녕군
시조성인보(成仁輔)
집성촌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즉동
년도2015년
인구182,377명
비고창녕 성씨 대종회
주요 인물

2. 역사

시조 성인보(成仁輔)는 고려시대 호장중윤(戶長中尹)을 역임했다.

5세손인 성여완(成汝完)이 1336년(고려 충숙왕)에 문과에 급제하여 민부상서와 정당문학을 지내고, 조선이 개국되자 검교문하시중(門下侍中)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해졌다.[1] 성여완의 장남 성석린(成石璘)도 창녕부원군으로서 1415년(태종 15년) 영의정에 올랐고, 차남 성석용(成石瑢)은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삼남 성석인(成石因)은 예조판서에 이르렀다.

성석용의 증손자 성삼문(成三問)은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이다.

성석인의 손자 성봉조(成奉祖)는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과 결혼하여 성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성석인의 증손자 성준(成俊)은 1503년 영의정에 올랐고, 성현(成俔)은 대제학을 지냈다. 성현의 손자 성세창(成世昌)은 1545년(명종 1) 좌의정에 올랐다. 성석인의 6대손 성혼(成渾)은 문묘에 배향되었다.

창산군(昌山君) 성사달(成士達)의 현손 성희안(成希顔)은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1513년 영의정에 오르고, 중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36명, 상신 5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을 배출하였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시조 성인보(成仁輔)는 고려시대 호장중윤(戶長中尹)을 역임했다.

5세손인 성여완(成汝完)이 1336년(고려 충숙왕)에 문과에 급제하여 민부상서와 정당문학을 지내고, 조선이 개국되자 검교문하시중(門下侍中)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해졌다.[1] 성여완의 장남 성석린(成石璘)도 창녕부원군으로서 1415년(태종 15년) 영의정에 올랐고, 차남 성석용(成石瑢)은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삼남 성석인(成石因)은 예조판서에 이르렀다.

성석용의 증손자 성삼문(成三問)은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이다.

성석인의 손자 성봉조(成奉祖)는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과 결혼하여 성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성석인의 증손자 성준(成俊)은 1503년 영의정에 올랐고, 성현(成俔)은 대제학을 지냈다. 성현의 손자 성세창(成世昌)은 1545년(명종 1) 좌의정에 올랐다. 성석인의 6대손 성혼(成渾)은 문묘에 배향되었다.

창산군(昌山君) 성사달(成士達)의 현손 성희안(成希顔)은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1513년 영의정에 오르고, 중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2. 2. 조선 시대

시조 '''성인보'''(成仁輔)는 고려시대 호장중윤(戶長中尹)을 역임했다.[1]

5세손인 성여완(成汝完)이 1336년(고려 충숙왕)에 문과에 급제하여 민부상서와 정당문학을 지내고, 조선이 개국되자 검교문하시중(門下侍中)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해졌다.[1] 성여완의 장남 성석린(成石璘)도 창녕부원군으로서 1415년(태종 15년) 영의정에 올랐고, 차남 성석용(成石瑢)은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삼남 성석인(成石因)은 예조판서에 이르렀다.[1]

성석용의 증손자 성삼문(成三問)은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이다.[1]

성석인의 손자 성봉조(成奉祖)는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과 결혼하여 성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졌다.[1] 성석인의 증손자 성준(成俊)은 1503년 영의정에 올랐고, 성현(成俔)은 대제학을 지냈다.[1] 성현의 손자 성세창(成世昌)은 1545년(명종 1) 좌의정에 올랐다.[1] 성석인의 6대손 성혼(成渾)은 문묘에 배향되었다.[1]

창산군(昌山君) 성사달(成士達)의 현손 성희안(成希顔)은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1513년 영의정에 오르고, 중종 묘정에 배향되었다.[1]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36명, 상신 5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을 배출하였다.[1]

2. 3. 근현대

3. 분파

창녕 성씨는 3세 성공필(成公弼)과 성한필(成漢弼)을 파조로 분파되었다.

성공필의 아들 성군미(成君美)의 후손에서는 판서공파(判書公派), 독곡공파(獨谷公派), 회곡공파(檜谷公派), 상곡공파(桑谷公派), 낭장공파(郎將公派)가 분파되었다. 성군미의 동생 성군부의 후손에서는 판사공파(判事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정절공파(貞節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가 분파되었다.

성한필의 아들 성군백의 후손에서는 평리공파(評理公派)와 검교공파(檢校公派)가 분파되었고, 성군백의 동생 성군보의 후손에서는 지사공파(知事公派)가 분파되었다.

4. 주요 인물

4. 1. 고려

성여완(成汝完)은 1309년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고 문하시중을 역임하였다. 성석린(成石璘)은 1338년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고 부원군에 봉해졌다. 성석용(成石瑢)은 1352년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고 밀직사부사를 역임하였다. 성부(成溥)는 1359년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고 병조판서에 올랐다. 성달생(成達生)은 1376년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고 판예빈시사를 역임하였다.

이름출생학위직위
성여완(成汝完)1309년과거급제문하시중
성석린(成石璘)1338년과거급제부원군
성석용(成石瑢)1352년과거급제밀직사부사
성부(成溥)1359년과거급제병조판서
성달생(成達生)1376년과거급제판예빈시사


4. 2. 조선

성봉조는 1401년에 태어나 부원군을 지냈다. 성삼문은 1418년에 태어나 우사간을 지냈다. 성준은 1436년에 태어나 우의정을 지냈다. 성건은 1438년에 태어나 형조판서를 지냈다. 성현은 1439년에 태어나 대제학을 지냈다. 성희안은 1461년에 태어나 영의정을 지냈다. 성세창은 1481년에 태어나 우의정을 지냈다. 성수침은 1493년에 태어나 좌의정을 지냈다. 성혼은 1535년에 태어나 좌찬성을 지냈다. 의빈 성씨는 1753년에 태어나 후궁이 되었다. 성원묵은 1785년에 태어나 예조판서를 지냈다.

4. 3. 근현대

성기운(成岐運)은 1847년에 태어나 도쿄 대학에서 정치학 명예박사를 받았으며, 조선귀족이었다. 성무용(成武鏞)은 1943년생으로 연세대학교 상학 학사를 받았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성낙인(成樂寅)은 1950년에 태어나 파리 제2대학교에서 공법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성완종(成完鍾)은 1951년생으로 한양대학교 경영학 석사를 받았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성윤환(成允煥)은 1956년생으로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를 받았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성낙송(成樂松)은 1958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를 받았으며, 사법연수원장을 역임하였다. 성백현(成白玹)은 195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를 받았으며, 서울가정법원장을 역임하였다. 성윤모(成允模)는 1963년에 태어나 미주리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으며,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성일종(成一鍾)은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경영학 학사를 받았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5. 항렬자

wikitable

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
문(文)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
호(鎬)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
口하(夏)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
석(錫)


6. 왕실과의 인척 관계

6. 1.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문효세자의 어머니인 의빈 성씨가 있다. 정종의 서자 덕천군의 사위는 돈령부판관 성찬이며, 다른 서자 석보군의 사위는 성숙이다. 태종의 4남 성녕대군의 처는 판원사(判院事) 성억(成抑)의 딸인 삼한국대부인 성씨이다. 세조의 서자 덕원군의 부인은 창녕군부인 성씨이며, 인조의 손자 경완군의 양손자인 여릉군의 부인도 성씨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